728x90
반응형
2023.1.5. 최초 작성
여러 개의 소스 코드를 만들어 사용하고 다른 파일에서 선언한 전역변수를 써야 할 때가 있다. 여러 명이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편한 유지보수를 위해 소스 코드를 여러 개로 분리할 때이다.
외부의 다른 c 소스 파일에 전역변수를 사용해도 되고 별도로 헤더파일을 만들어 사용해도 된다. 헤더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려면 #include 해야 한다. 사용자가 만든 헤더파일을 #include 할 때는 쌍따옴표(“ ”)를 사용한다.
아래 코드는 c 소스 코드이다.
#include <stdio.h>
#include "extern_file.h"
void main() {
extern int a;
extern int b;
b = 30;
printf("%d + %d = %d\n", a, b, a + b);
}
아래 코드는 extern_file.h 헤더파일이다.
int a = 10;
int b = 20;
[실행 결과]
10 + 30 = 40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ic 변수와 static 함수 (0) | 2023.01.09 |
---|---|
C언어 함수 (0) | 2023.01.08 |
레지스터 변수 (0) | 2023.01.05 |
정수(int)의 크기가 넘치는 경우(정수 오버플로우) (1) | 2023.01.05 |
C언어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블록 범위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