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구성하기

swedu 2022. 12. 21. 09:11
728x90
반응형

2022.12.20. 최초 작성

 

 

4개의 라우터를 프레임 릴레이로 구성하는 실습이다.

프레임 릴레이는 WAN을 구성하는 방식 중 패킷 스위칭 방식(Packet Switched)으로 가상회선(Virtual Circuit)개념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서 쓰는 방식이다.

 

라우터를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한다. 가운데 있는 것은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로 WAN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라우터이다.

라우터 이름을 클릭하여 R1 ~ R4로 변경한다.
[그림1] 라우터 배치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DLCI)와 Name을 추가한다.
Serial0은 R1라우터, Serial1은 R2라우터, Serial2은 R3라우터, Serial3은 R4라우터와 연결할 것이다.

102 는 1번 라우터에서 오는 데이터를 2번 라우터로 스위칭하는 의미로 가상의 회선에 이해하기 쉽도록 이름 지은 가상의 포트이다.
103은 1번 라우터 --> 3번 라우터, 104는 1번 라우터 --> 4번 라우터로 스위칭하는 의미이다.

[그림2]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시리얼포트0 설정


[그림3]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시리얼포트1 설정


[그림4]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시리얼포트2 설정



[그림5]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시리얼포트3 설정



Frame Relay 메뉴에는 위에서 정의한 가상의 포트를 매핑하여준다.

[그림6]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포트 매핑



R1 ~ R4 라우터에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기위해 전원 버튼을 끄고 WIC-2T슬롯을 추가한다.

[그림7] 시리얼 포트 슬롯 추가


라우터의 전원을 다시 켠다.

[그림8] 시리얼 포트 추가된 모습



관리하게 편하게 라우터 이름 R1, R2, R3, R4로 변경한다.

[그림9] 라우터 이름 변경






케이블 연결은 Serial DCE로 다음과 같이 연결한다.

라우터 - 인터페이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 인터페이스
R1 - Serial0/1/0 Cloud0 - Serial0
R2 - Serial0/1/0 Cloud0 - Serial1
R3 - Serial0/1/0 Cloud0 - Serial2
R4 - Serial0/1/0 Cloud0 - Serial3

[그림10] 연결된 네트워크 구성




R1~R4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후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 구성한다.

[그림11] 프레임 릴레이 설정


R1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후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 구성
R1(config)#interface Serial0/1/0
R1(config-if)#ip address 10.10.10.1 255.255.255.0
R1(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1(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2 102 broadcast
R1(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3 103 broadcast
R1(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4 104 broadcast

R2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후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 구성
R2(config)#interface Serial0/1/0
R2(config-if)#ip address 10.10.10.2 255.255.255.0
R2(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2(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1 201 broadcast
R2(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3 203 broadcast
R2(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4 204 broadcast

R3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후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 구성
R3(config)#interface Serial0/1/0
R3(config-if)#ip address 10.10.10.3 255.255.255.0
R3(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3(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1 301 broadcast
R3(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2 302 broadcast
R3(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4 304 broadcast

R4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후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 구성
R4(config)#interface Serial0/1/0
R4(config-if)#ip address 10.10.10.4 255.255.255.0
R4(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4(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1 401 broadcast
R4(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2 402 broadcast
R4(config-if)#frame-relay map ip 10.10.10.3 403 broadcast


만약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맵을 구성을 잘 못한 경우 맨 앞에 no를 붙여 취소한다.
R4(config-if)#no frame-relay map ip 10.10.10.3 403 broadcast



show frame-relay map 명령으로 프레임 릴레이 매핑이 잘 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그림12] 프레임 릴레이 설정 확인



R1~ R4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시킨다.

R1(config)#int s0/1/0
R1(config-if)#no shutdown
R1(config-if)#end

R1#show ip interface brief

[그림13] 활성화되어 있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R1~R4 라우터까지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모두 활성화 되었으면 ping을 통해 라우터간 통신이 되는지 확인한다.

[그림14] R1에서 다른 라우터에 ping 전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