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8. 최초 작성
Lv2.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645?language=python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n인 삼각형에서 맨 위 꼭짓점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달팽이 채우기를 진행한 후, 첫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모두 순서대로 합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 | result |
4 | [1,2,9,3,10,8,4,5,6,7] |
5 | [1,2,12,3,13,11,4,14,15,10,5,6,7,8,9] |
6 | [1,2,15,3,16,14,4,17,21,13,5,18,19,20,12,6,7,8,9,10,1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문제분석]
삼각 달팽이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숫자가 증가하는 형태이다.
바깥쪽 테두리 다음에는 안쪽 테두리도 같은 방식이다. 삼각 달팽이가 커질수록 계속 안쪽 테두리가 추가된다.

[접근 방법]
삼각 달팽이의 테두리는 1부터 1씩 증가하는 값을 가지므로 계산이 간단하지만, 반복 구조 만들기가 어렵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반복 구조를 아래와 같이 먼저 파란색을 반복하여 아래와 같은 이중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 [ 1 ], [ 2, 15 ], [ 3, 14 ], [ 4, 13 ], [ 5, 12 ], [ 6, 7, 8, 9, 10, 11 ] ]
다음에는 빨간색을 반복하여 아래와 같은 이중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 [ 16 ], [ 17, 21 ], [ 18, 19, 20 ] ]
파란색 리스트 사이에 빨간색 리스트를 삽입하면 아래와 같은 리스트가 나온다.
[ [ 1 ], [ 2, 15 ], [ 3, 16, 14 ], [ 4, 17, 21, 13 ], [ 5, 18, 19, 20, 12 ], [ 6, 7, 8, 9, 10, 11 ] ]

이중 리스트를 한 개의 리스트로 바꿔주면 완성된다.
[ 1, 2, 15, 3, 16, 14, 4, 17, 21, 13, 5, 18, 19, 20, 12, 6, 7, 8, 9, 10, 11 ]
[주의사항]
안쪽 삼각 달팽이의 개수와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n이 커지면 삼각 달팽이는 많아지고 n이 4인 경우처럼 안쪽 삼각형이 1개만 있어서 삼각 모양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조건에 대응해야 한다.
[풀이 코드]
삼각 달팽이를 이중 리스트로 초기화하고 삼각 달팽이에 들어갈 최댓값을 구하는 함수이다.
리스트에 숫자를 대입하며 삼각 달팽이를 만들어 주는 함수이다.
첫 번째 실행될 때는 삼각 달팽이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를 만들어 준다.
[ [ 1 ], [ 2, 15 ], [ 3, 14 ], [ 4, 13 ], [ 5, 12 ], [ 6, 7, 8, 9, 10, 11 ] ]
두 번째 실행될 때는 삼각 달팽이의 안쪽 테두리를 추가한다.
[ [ 1 ], [ 2, 15 ], [ 3, 16, 14 ], [ 4, 17, 21, 13 ], [ 5, 18, 19, 20, 12 ], [ 6, 7, 8, 9, 10, 11 ] ]
startNO : 삼각형의 시작 숫자
startRow : 삼각형의 시작 높이
n :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
list : 숫자가 저장될 리스트
border : 삼각 달팽이의 테두리 번호 (안쪽 테두리를 삽입할 인덱스 번호)
솔루션 함수이다.
반복을 돌면서 삼각 달팽이를 만들고 이중 리스트를 한 개의 리스트로 변경한다.
[정리]
삼각 달팽이 구조를 만들 때 반복 구조를 어떻게 할 것 인지가 중요하다.
1부터 커지는 숫자를 보면 달팽이 모양인데 끊어지지 않고 한 번에 연결할 규칙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양파처럼 껍질처럼 하나의 테두리에 집중하여 리스트로 숫자를 만들고 바깥 테두리와 안쪽 테두리의 차이를 분석하여 반복 구조를 완성하였다.
이 문제는 달팽이로 보기보다 양파로 바꿔서 보니 생각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해결 방법이 아주 빠르게 정리되었다.
달팽이를 양파로 보는 다른 시선처럼 보는 관점을 다르게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 파이썬 (0) | 2023.01.07 |
---|---|
[프로그래머스]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 자바 (1) | 2022.12.26 |
[프로그래머스] 124 나라의 숫자 - 파이썬 (0) | 2022.12.25 |
[프로그래머스] 성격 유형 검사하기 - 파이썬 (1) | 2022.12.18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나누기 - 파이썬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