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6 최초 작성
Lv1.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1?language=java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board | moves | result |
[[0,0,0,0,0],[0,0,1,0,3],[0,2,5,0,1],[4,2,4,4,2],[3,5,1,3,1]] | [1,5,3,5,1,2,1,4] | 4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인형의 처음 상태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크레인이 [1, 5, 3, 5, 1, 2, 1, 4] 번 위치에서 차례대로 인형을 집어서 바구니에 옮겨 담은 후,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바구니에 담는 과정에서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은 4개입니다.

[문제분석]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은 먼저 들어간 것이 마지막에 나오는 전형적인 스택 구조이다.
입력 데이터는 이차원 배열구조의 인형의 초기 데이터와 일차원 배열 구조의 크레인의 이동 순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두 가지 접근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board라는 이차원 배열의 값을 그대로 사용할지 아니면 스택 자료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것인지이다.
문제의 의도가 스택을 잘 활용할 줄 아느냐를 보는 걸로 생각되어 스택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board는 배열의 크기가 최소 5 x 5부터 최대 30 x 30까지 입력될 수 있는 가변적이다.
[접근 방법]
board 배열의 크기가 가변적이므로 ArrayList 클래스를 이용하고 자바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tack 클래스를 이용하기로 한다.
board 배열은 ArrayList<Stack<Integer>> 와 같은 구조로 초기화하고 오른쪽에 인형을 담을 바구니는 Stack<Integer> 구조로 만든다.
크레인으로 왼쪽의 뽑기 게임기에서 새로 뽑힌 인형과 오른쪽 바구니에 담긴 인형 중 맨 위의 인형이 같으면 연속해서 같은 인형으로 볼 수 있으므로 카운트 후 맨 위의 인형을 제거한다.
[주의사항]
board 배열의 순서와 인형 뽑기 게임기의 담겨있는 인형 순서를 잘 확인해야 한다.
스택 구조의 특성을 잘 알고 Stack 클래스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풀이 코드]
init 메소드에서 board 배열의 값을 ArrayList<Stack<Integer>> 구조의 list에 초기화한다.
moves 배열에 담김 크레인 이동 순서에 의해 list(인형 뽑기 게임기)에 담긴 인형을 뽑아 오른쪽을 바구니 스택으로 이동한다.
이때 바구니 스택에 연속해서 같은 인형을 확인하여 카운트하고 삭제한다.
[정리]
입력 데이터인 board를 이차원 배열 구조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인형 뽑기 게임기를 여러 개의 스택으로 구현하였다.
이번에는 자바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Stack 클래스를 사용하였는데 개발자가 스택 구조를 클래스로 구현하여 사용하는 것을 더 추천한다.
추후 이문제는 자바의 기본 제공 Stack 클래스가 아닌 따로 만든 Stack 클래스로 구현하여 내용을 정리하겠다.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삼각 달팽이 - 파이썬 (0) | 2023.01.18 |
---|---|
[프로그래머스]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 파이썬 (0) | 2023.01.07 |
[프로그래머스] 124 나라의 숫자 - 파이썬 (0) | 2022.12.25 |
[프로그래머스] 성격 유형 검사하기 - 파이썬 (1) | 2022.12.18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나누기 - 파이썬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