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3.1.2 최초 작성
a와 b 변수에 둘다 10을 넣고 type, id, dir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다.
print(a)
print(b)
위 코드 처럼 변수 이름을 사용하면 변수의 값이 출력된다.
print(type(a))
print(type(b))
type()을 사용해 출력하면 클래스 타입을 알 수 있다. a와 b는 정수를 의미하는 int 타입이다.
print(id(a))
print(id(b))
id()를 사용해 출력하면 해당 변수에 들어 있는 주소가 나온다. a와 b의 id 값은 같다.
아래 그림처럼 a와 b는 10이란 값을 직접 가지는 것이 아닌 다른 곳에 존재하는 같은 10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파이썬의 모든 변수는 값을 직접 가지는 형식이 아닌 주소를 가지고 해당 주소를 참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print(dir(a))
print(dir(b))
dir()을 사용하면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확인 할 수 있다.
파이썬의 모든 자료형은 객체 타입이다. a와 b는 int 클래스 객체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for문 응용 (range, enumerate를 이용한 번지 접근) (0) | 2023.01.06 |
---|---|
파이썬 입력함수 input과 매뉴얼 (0) | 2023.01.02 |
파이썬 출력함수 print formatting (1) | 2023.01.02 |
PyCharm 다운로드 및 설치 (0) | 2023.01.02 |
Python 다운로드 및 설치 (0) | 2023.01.02 |